본문 바로가기

공급물량2

멸실주택수 확인 방법 멸실주택수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, 주변 주택 시세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대해 알아보자. 목차 1. 국가통계포털 KOSIS 2. 지표누리 3. 국토교통 통계누리 멸실주택의 개념과 활용도 * 멸실주택: 건축법상 주택의 용도에 해당하는 건축물이 철거 또는 멸실되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될 경우로서 건축물대장 말소가 이루어진 주택 * 멸실 주택수 파악을 통해 지역별 주택재고 현황 파악 및 지역별 주택수급 상황 판단의 기초자료로 활용 (출처: 나라지표) 1. 국가통계포털 KOSIS 1. 네이버나 bing 등의 검색포털에 '국가통계포털' 을 검색한다. 2. 국내통계 -> 주제별 통계 -> 주거 -> 주택보급률 -> 멸실주택현황 순으로 클릭한다. 3. 연도별 멸실주택 현황을 그래프로 쉽게 알 수 있다... 2023. 7. 3.
아실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들 아실에서 가장 특화된 부분은 학군과 입주물량! 그외에 재개발, 재건축 구역정보, 재개발, 재건축 용적률, 평균대지지분, 아파트 가격 및 정보 비교, 매물증감, 거래량, 분양 정보 등 확인이 가능하다. 아실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들을 숙지해서 추후 지역이나 아파트 분석할 때 적용해보면좋을 것 같다. 학군 확인하기 학군은 아실이 단연 최고!!! 학군비교 누르고, 비교하고 싶은 지역 2곳을 입력한다. (예, 안양시 동안구, 군포시) 아래 그래프로 보면, 위 쪽으로는 특목고진학률이 높고, 오른쪽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인데, 안양이 둘다 높게 나왔다. (민트:안양시 동안구, 주황: 군포) 학군 탭을 누르면 지도에 학군을 %로 확인 가능하다. 90% 가 넘는다면 학군이 높은 지역으로 생각하면 된다. (90.. 2023. 6. 8.